부동산

세계 주요국 PIR지수로 본 서울 부동산

포프리278 2021. 10. 8. 14:28
반응형

 

포프리 278이다.

 

오늘은 PIR지수를 통해 서울 부동산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PIR 지수란 Price to income ratio의 약어로, 국민(시민) 연평균 소득을 반영한 특정 지역 또는 국가 평균 수준 주택 구입 시간을 의미한다.

 

A지역의 사람들의 1년 평균소득이 5000만 원이고 그 지역의 PIR지수가 10이라면

 

평균 수준의 주택 구입 가격은 5억 원이 된다. 

 

생활비는 고려하지 않는다. PIR 지수는 소득을 쓰지 않고 모두 모았을 때 얼마나 시간이 걸리는가?라는 뜻이다.

 

물론, PIR지수는 생활비, 주택비, 통신비 이런 것들을 계산하지 않고 평균소득만으로 따지기 때문에 그 지역의 물가는 고려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그렇다면 NUMBEO의 사이트로 세계 각국 PIR을 확인해보자.

 

SOURCE: NUMBEO

NUMBEO를 구글 크롬 번역기를 사용하면 한글로 번역되니 잘 활용해보자.

 

영국의 수도 런던이다.

 

영국은 14.48년이다.  1년 연봉은 14년을 모아야 주택을 구입할 수 있다.

 

물론, 생활비를 고려하면 더 힘들 수 있다.

 

도심 침실 1개 아파트 1달 월세가 평균이 1,696파운드이고, 원화로는 275만 원이다.

 

침실 1개짜리면 투룸 정도가 평균일 텐데 우리나라 임대료보다는 많이 높다.

 

SOURCE: NUMBEO

이탈리아의 대표도시 로마이다.

 

PIR지수는 17.25이고, 연봉을 17년 모아야 평균 수준 주택을 살 수 있다.

 

하지만, 물가를 고려하면 런던보다는 빨리 살 수 있겠다.

 

도심의 침대 1개짜리 방이 월세가 133만 원이다. 우리나라보다 비싼 편이지만 그래도 런던의 반값이다.

 

SOURCE: NUMBEO

초록색~주황색 ~ 빨간색으로 갈수록 PIR 지수가 높은 것이다.

 

서구 유럽은 PIR 지수가 대부분 낮은 것을 볼 수 있다. 각 국의 수도는 보통 주황색을 띠고 있다.

 

SOUCE: NUMBEO

서울은 PIR이 30.45이다. 

 

서울시민이 연봉을 30년을 모아야 집을 살 수 있다.

 

물가를 고려한다면 그래도 좀 낫다. 도심 아파트 침실 1개짜리 방이 평균 월세가 100만 원이다.

 

이를 보면 우리나라는 집값은 상대적으로 비싸지만 상대적으로 월세는 저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SOURCE: NUMBEO

우리나라 서울의 PIR 지수는 전 세계 대도시중 14위로 상위권이다.

 

주로 아시아, 동남아, 중동 등의 PIR지수가 높다. 

 

 


서구 유럽 수도의 부동산 가격은 서울과 비교해서 절대적 가격은 그렇게 낮지 않다. 하지만 평균 수입이 높고, 서구 유럽은 중산층이 두터워 PIR지수가 낮은 것으로 파악된다.

 

우리나라의 도심지 부동산 소유는 벌써 부자들의 전유물이 되었다. 

 

우리나라는 임대료가 낮은 것은 방 1개짜리 임대는 서민 중심으로 공급이 되고 있어 소득 대비 감당할 수 있는 만큼 임대료가 형성된다.

 

우리나라는 점점 주택구입은 평균소득의 시민들이 사는 것이 아닌 상위권 사람들만 사는 형국으로 바뀌어 간다.

 

반면 임대는 서민들이 감당할 수 있는 가격이 된 듯하다. (서민들이 임대를 해야 하기 때문에)

 

중국과 홍콩의 PIR지수가 높은 것도 이렇게 해석된다. 중국은 G2로 경제 대국이지만 1인당 평균소득은 56위이다. 상위 1%가 전체 부의 31%를 차지하고 있다. 

 

홍콩과 베이징의 부동산은 상위권 사람들이 거주하니 평균소득과는 상관없는 가격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향을 서울 부동산도 답습해가는 것 같아 씁쓸하다.

 

또한, 우리나라의 부동산 투자는 서울을 중심으로만 돌아가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우리나라의 개발과 산업은 서울과 수도권 위주로 돌아간다. 일자리와 산업이 풍부한데 당연히 부동산 투자도 그 위주로 돌아가겠다.  

 

우리나라의 PIR 지수를 낮추려면 빈부격차 해소와 지방의 균형 발전이 간절히 필요하다 생각한다. 

 


도움이 되었다면 구독, 댓글, 공감 부탁드립니다.

 

※ 사실을 전달하는 포스팅이며 투자에 대한 권유를 하고 있지 않다. 투자에 대한 직간접적인 책임은 지지 않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