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프리 278이다. 금리가 인상될 것으로 예상되어 이번 fomc 회의는 무엇보다 많이 떨리고 걱정됐었던 것 같다. 인플레이션의 상태가 심각하여 올해 금리를 올릴 수도 있지 않나 생각했는데, 다행이 시장의 기대만큼 딱 좋게 나와주어 다행이다.
결론을 미리 말하자면 테이퍼링은 3월까지 종료하고, 금리 인상은 내년에 3회정도 실시할 예정이라는 것이다. 시장의 불확실성이 어느정도 해소되었으니 투자 심리도 좋아질 것 같다.
FOMC 브리핑을 영상으로 보고싶은 분들은 아래 유튜버 자유지성님 영상을 보면 좋을 듯 하다.
아래는 FOMC 성명서 원문과, 해석본이다. 해석은 필자가 직접했다.
점도표를 보면 알겠지만 올해 금리 인상은 없다. 다만, 2022년에 3차례의 금리인상을 할 것으로 보이는데, 2022년 말엔 0.9%정도 기준금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2023년 말엔 1.9% 2024년엔 2.4% 그 이후엔 2.5%로 유지될 전망이다.
물론, 현재의 상황에 맞추어 금리를 예측하는 것이기에 후에 경제적 상황에 따라 금리 전망은 달라질 수 있다. 사실 나는 금리 인상이 2022년에 2번 할 것으로 예상했었는데 예측보다는 높게 나왔다.
하지만, 시장의 기대치와 많이 벗어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미 금리 인상 이슈는 시장에 선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불확실성도 어느정도 해소되었으니 투자심리도 좋아질 것이다. 따라서 조심스럽게 상승을 예측해본다.(주식, 암호화폐)
금리 인상은 부동산 시장에는 타격이 있을 수 밖에 없다. 부동산 투자는 한동안 관망을 권하지만, 본인 현금이 많다면야 금리 걱정없이 부동산 투자 할 수 있으니 현금 부자라면 투자를 권한다.
물론, 투자의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다. 오직 이는 나 개인의 견해일 뿐 판단은 본인이 스스로 하기 바란다.
도움이 되었다면 구독, 댓글 공감 부탁드립니다.
'경제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테그플레이션 금리 인상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거대한 인플레이션 세상이 온다. (1) | 2021.12.19 |
---|---|
오미크론 변이는 자산시장을 집어삼킬까? 투자의 방향은? (0) | 2021.11.28 |
위드로봇, 자율주행, 드론 인간의 일자리는 어찌될까? 투자의 방향은? (0) | 2021.11.24 |
파월 의장 유임 연준의 경제정책의 향방은? (0) | 2021.11.23 |
미 물가상승률 최대 자산시장은 어찌 될까? (0) | 2021.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