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

엑시인피니티 스콜라 계정 준비

포프리278 2021. 10. 24. 21:34
반응형

 

포프리 278이다.

 

엑시인피니티 스콜라를 통해서 부가수입을 얻기 위한 준비단계로 스콜라 계정을 추가 생성해주어야 하며 오늘은 그 방법에 대해 공유하도록 하겠다.

 

지난 포스팅에서 메타마스크와 로닌 지갑 계정 생성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스콜라 계정을 위해서도 메타마스크 및 로닌 지갑 생성을 해주어야 하는데 지난번과 다르게 생성한 계정에서 계정 추가를 해주면 된다. 

 


혹시 메타마스크 및 로닌 지갑의 최초 계정 생성을 하는 법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면 된다.

 

https://forfree278.tistory.com/entry/%EC%97%91%EC%8B%9C%EC%9D%B8%ED%94%BC%EB%8B%88%ED%8B%B0-%EB%A9%94%ED%83%80%EB%A7%88%EC%8A%A4%ED%81%AC

 

엑시인피니티 메타마스크

포프리 278이다. 엑시인피니티를 플레이하기 위해서는 엑시라는 NFT를 구매해야 하는데 구매 통화가 이더리움(ETH)이다. 이더리움은 로닌이라는 개인 지갑에 전송해야 하는데 로닌에 이더리움을

forfree278.tistory.com

 

https://forfree278.tistory.com/entry/%EC%97%91%EC%8B%9C%EC%9D%B8%ED%94%BC%EB%8B%88%ED%8B%B0-%EB%A1%9C%EB%8B%8C-%EC%A7%80%EA%B0%91-%EC%83%9D%EC%84%B1

 

엑시인피니티 로닌 지갑 생성

포프리 278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전 포스팅에서 다뤘던 메타마스크 지갑 계정 생성 방법에 이어 엑시인피니티를 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지갑인 로닌 지갑 계정 생성 방법에 대해 

forfree278.tistory.com

 

 

메타마스크 지갑 스콜라 계정 생성

 

확장 프로그램에 설치된 메타마스크를 눌러준다. 그러면 아래 화면이 나타나는데 우측 상단의 동그라미를 클릭해준다. 

 

 

그럼 아래화면이 나오는데 계정 생성을 눌러주고 원하는 이름으로 계정을 만들어준다. 글쓴이는 Account4라고 계정을 만들어주었다. 

 

 

로닌 지갑 스콜라 계정 생성

 

로닌 지갑도 메타마스크와 동일한 방법으로 생성해주면 된다. 똑같이 구글 확장 프로그램에서 로닌을 실행해주고 우측 상단의 사람 아이콘을 눌러준다. Create account를 눌러주고 이름을 입력한다. 글쓴이는 Account #4로 만들었다. 

 

이제 본 계정을 만든것과 같이 아래 링크의 엑시인피니티 마켓플레이스로 가서 로닌 지갑으로 로그인한 뒤 이메일 계정을 생성해야 한다. 

 

https://marketplace.axieinfinity.com/

 

 

 

이메일 인증해서 계정 생성되면 스콜라 계정 준비는 거의 다 끝났고 엑시 3마리만 스콜라 계정으로 옮겨주면 된다.

 

 

엑시 스콜라 계정으로 보내기

 

본 계정으로 로그인 후 Inventory를 들어가면 선물로 보낼 수 있는 엑시들이 나타는데 원하는 엑시를 선택해준다. 

 

 

그럼 아래화면처럼 나오는데 스콜라 계정의 로닌 지갑 주소를 입력하고 Gift 버튼을 누르면 된다. 이때 주의할 점은 엑시의 레벨이 1로 초기화된다는 것이다. 고려해서 보내면 되겠다. 

 

 

엑시 스콜라를 처음 주려고 하는 분들이 궁금해하는것이 엑시나 수확하는 SLP 등을 스콜라가 마음대로 할 수 있지 않냐는 것이다. 하지만 로닌 지갑을 갖고 있어야 SLP, NFT 등을 처리할 수 있으므로 그 점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스콜라의 다계정 사용으로 인한 10년간 정지 문제는 위험요소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인은 측근에게 스콜라계정을 주어 같이 플레이를 진행 중이다. 

 

오늘은 엑시인피니티 스콜라 계정 준비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댓글, 공감을 부탁드립니다.

※ 본 글의 내용은 오직 정보전달을 하기 위함이며 본 글을 바탕으로 행하여진 어떠한 개인의 어떠한 투자행위 결과에 대해서 글쓴이는 모든 책임을 지지 않는다.

반응형